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요소

욕실

B301 욕실 기능 

  • 씻고 목욕하기

  • WC 별도 공간이  있을 수 있음

  • 보관 

 추가 설비

  • 어린이 목욕 공간

  • 노인용 또는 장애인용 장비

  • 개별 샤워

  • 비데 bidet

  • 마스터 침실이나 다른 침실에 실내 욕실 시설을 제공해야 하는지 고려.

핵심 요소

  • 프라이버시 privacy

  • 사용효율 efficiency

  • 배관설비 plumbing fixture

하나의 잘 디자인 된 욕실은 2 개 또는 그 이상의 욕실이 제공하는 프라이버시와 편안함을 제공 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활동을 위해 개인 공간을 포함하도록 욕실을 설계하여 둘 이상의 사람이 동시에 욕실 영역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가구당 전체 욕실 수를 줄이는 데 유용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세면대 또는 입욕 구역을 화장실 구역에서 분리하면 한 사람이 목욕을 하거나 다른 사람이 화장실을 비공개로 사용할 수 있다.

B302 조직 흐름

욕실에는 세 가지 활동 영역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세면대 sink / 손질 영역 grooming area, 화장실 영역 toileting area 및 목욕 bathing / 샤워 실 showering area

공간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려면 3 개의 활동 영역을 성공적으로 연결 및 중첩시켜야 하며 각 시설물에 필요한 적절한 공간 과 접근 공간 을 확보해야 하며 적절한 순환 공간 과 배관 공급 및 배수관을 고려해야 한다. 실내의 순환 공간에는 휠체어 통과를 위한 최소 900mm의 공간이 있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800~900mm의 공간이 필요하다.

 

고정 장치 사용이나 실내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규칙

  • 가장 자주 사용되는 설비나 장소를 가장 먼저 또는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한다.

  • 가장 부피가 큰 또는 가장 사용빈도가 적게 사용하는 설비를 마지막으로 또는 방의 후방으로 놓는다.

  • 이 규칙에 따라서 세면대를 문 가까이에 있는 위치에 놓고 방의 뒤쪽 근처에 욕조 또는 샤워기를 놓아서 컴팩트하고 경제적인 방을 만든다.

추가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사용자 수, 공간 제한 또는 공간 부족

  • 지역 기후 추운 기후에는 배관을 벽에 위치시키는 것을 제한한다

  • 특정 설비 요구 사항

  • 전체 공간의 일반적인 사용 용이성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고정기구 순서대로 욕실에 입구 위치에서부터 배치한다.

 

B303 필수 여유 공간 

쾌적한 사용을 위해 필요한 표준 욕실 고정기구 공간으로 고정기구와 벽 사이에 250mm 이상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주어진 치수는 최대 600 mm 너비의 세면대에 대한 경험 기준이다. 크기가 크거나 비정상적인 모양 및 크기의 경우 제조업체의 권장 사항을 참조해야 한다. 샤워실에서는 사용자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문 작동 면적을 고려해야 한다.

  • 화장실 사용에 관한 중요한 치수 정보에는 변기의 각 면에 대한 공간과 변기 앞의 여유 공간이 포함된다.

  • 휠체어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설계된 화장실은 명확한 여유 공간과 손잡이에 대한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화장실과 마찬가지로 비데는 각 측면과 위생 기구 앞에 적절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 세면대를 계획 할 때 세면대를 접근하고 사용하는 데 필요한 공간을 고려해야 한다.

  • 욕조 Bathtub 에는 욕조에 편리하게 들어가고 나갈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종종 근처의 비품으로부터의 접근거리 문제가 발생한다.

  • 욕조와 마찬가지로 샤워도 샤워에 들어가거나 나가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샤워기에는 종종 문이 포함되며, 이 경우 문 스윙을 위한 공간을 고려해야 한다.

  • 샤워 헤드 및 커튼 봉은 1,800 mm로 장착되는 경우가 많지만 설치 높이는 개별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르다.

그림1 욕실위생기구 필요공간

 

샤워공간 크기는 국제 거주 코드 IRC권장 최소 크기는 900 × 900 mm

양변기 중앙은 벽으로부터 최소 이격 거리 380 mm.

욕실 문을 열었을 때 양변기가 바로 앞에 배치는 권장하지 않으며, 문을 열 때 양변기와의 간섭도 검토해야 한다.

 

양변기 공간

권장 최소 길이:  1220 mm.

앞 공간 최소 길이: 750 mm.

양 옆 최소 폭:  750 mm.

 

그림 2 욕실의 동작공간

B304 고정기구 배치 

문제가 되는 욕실 계획

욕실장의 문 궤적이 입구 문과 충돌하는지 검토해보고, 힌지 위치를 변경하면 잠재적 인 문 간섭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추운 날씨에 동결되기 때문에 외벽에 배관을 매입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급수 공급 샤워 시설을 수리하기 위해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패널을 설치해서 중간 밸브 설치하고, 캐비닛을 통해 측벽에서 배관을 가져오는 것이 좋다.

그림 3 위생기구 배치 A

장점: 공간 및 배관 라인의 소형 및 경제적 사용을 제공한다.

단점: 욕조 / 샤워 조절기에 대한 어색한 접근과 욕실 창문 영역은 욕조 / 샤워공간에 위치한다. 또한, 공간을 완전히 접근 가능하게 만들려면고정기구 간극이 넓어지고, 더 넓은 출입구 및 더 넓은 회전 반경을 허용하도록 공간을 확장해야 한다.

그림 4 위생기구 배치 B

장점: 제한된 공간에 있는 모든 것에 잘 접근 할 수 있고 또한 중립적인 창 위치를 계획 할 수 있다. 또한 도어는 힌지가 장착 된 상태로 800mm 크기로 사용되고 있지만 동일한 크기의 포켓 도어로 쉽게 교체 할 수 있다. 접근성; 원하는 경우 이 방 배치를 폭의 측면에서 확장 할 수도 있다.

단점: 두 개의 벽에 배관하고 작은 세면대를 사용하는 비용이 소모될 수 있다.

B305 고정기구 위치에 대한 효율성

설비기기 fixture

  • 세면대 sink

  • 양변기 toilet bowl – 소변기 urinal, 좌변기 toilet stool (seat)

  • 욕조/샤워기 bath/shower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기구 세면대와 양변기 가 욕실에 들어올 때 가장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이러한 설비기구를 배치하는 것이 좋다.

  • 파우더 룸 powder room 은 변기 lavatory / 미용 grooming 및 화장실 toilet / 비데가 있는 욕실 이다.

  • 일부 대형 욕실에서는 화장실 lavatory / 미용 grooming 기능이 침실 스위트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 두 명 이상의 사람이 사용하는 욕실에서는 입구 문을 열면 다른 사람이 위생기 lavatory 또는 화장실 toilet 을 사용하는 데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별도의 문이 필요할 수 있고, 접이식 Bifold 또는 포켓도어pocket door는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선호되는 솔루션 일 수 있다.

  • 일반적인 욕실 액세서리에는 캐비닛, 거울, 비누 접시, 화장지 홀더, 수건 바, 린넨 수납공간이 있다.

  • 전동 칫솔, 면도기 및 헤어드라이어를 위한 편리한 전기 콘센트가 제공되어야 한다.

  • 이러한 콘센트들은 누전 차단기로 기준으로 접지되어야 하고 마감된 바닥보다 900mm 위에 보통 위치한다.

  • 욕실 환기는 자연적인 수단 창 또는 작동 가능한 채광창 또는 기계식 배기 팬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 공공 파우더 룸 일반적으로 손님이 사용하는 의 방음 장치가 중요하다. 위치는 거실, 식사 공간 또는 입구 홀, 유틸리티 구역 또는 침실 복도에 파우더 룸을 배치한다.

B306 배관의 기초 

모든 배관 설비에는 급수관 water supply pipe 뿐 아니라 하수관 drainpipe 이 필요하다.

생활하수는 오수와 배수로 구분한다.

 

오수

화장실에서 나오는 배출물 정화조에서 정화 후 하수도로 배수

배수

세면기, 욕조, 샤워, 주방싱크, 세탁기에서 나오는 배출물

 

화장실에는 오수 파이프라고 하는 더 큰 배수관이 필요하다.

네트워크는 정화조로 이어지는 다른 위생 기구의 독립적인 가지 배출 파이프로 형성되며,

정화조 淨化槽 septic tank보통 땅속에 묻혀 있다.폐수가 정화조를 지나면서 그 속의 침전물이 침전되고, 그 뒤 토관 배수장으로 흐른다.고형물질은 침적물의 무산소성 세균작용으로 분해된다. 침적물이 많이 쌓이면 분해작용이 방해를 받으므로, 정기적으로 청소를 통해 침적물을 정화조 밖으로 펌프질하여 다른 장소에 폐기해야 한다.

건물 밖으로 하수 및 폐수를 유도하는 것은 이보다 더 큰 파이프이다.

 

하수 파이프 drainpipe 는 중력을 사용하는 원리이므로 흐름을 위해 배출방향으로 하향 기울기 slope 가 필요하다.

또한, 배수 drain 시스템에는 환기 장치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위로 올라가는 환기라인 vent line 또는 파이프를 통해 지붕을 통해 외부로 통해있다.

 

급수 water supply 시스템은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연속적인 하향 경사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연속적인 경사 slope 를 사용하면 전체 시스템의 배수가 원활해지므로 비어 있는 주택에서 겨울철에 동결 파이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욕실 배관 의 기초를 이해하는 것은 설비 와 배수관 drain 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는 수단으로 유용하다. 배관 설비 plumbing fixture 를 갖춘 각 벽은 배관 벽으로 간주되며, 욕실 당 배관 벽의 수를 최소화하면 비용을 절약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사용 편의성 과 프라이버시 영역 생성은 배관 벽을 최소화하는 단순한 경제성 못지않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B307 욕실 급수 파이프 

 

그림 5 욕실 급수관

A. 급수관은 아래 또는 위부터 공급 될 수 있으며 동결 될 수 있는 영역을 피해서 매입되어야 하며 욕실내부에 공급되는 주관은 차단밸브가 필요하다.

B. 세면대에는 냉수, 온수을 위한 차단 밸브가 필요하다.
이것은 수도꼭지의 수리 또는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C. 온수기에서 공급되는 온수관

D. 양변기 급수관

E. 욕조 / 샤워에 공급되는 냉수, 온수 관

 

B308 욕실 배수 파이프  

 

그림 6 욕실 배수관

폐기물 시스템과 관련된 배관의 중요한 규칙은 모든 배수구를 막고 모든 트랩을 환기해야 한다는 점이다. 폐수에서 발생하는 메탄이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하수구의 재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폐수는 반드시 갇혀야 한다. 양변기는 기구 자체가 트랩을 형성하는 모양이기 때문에 따로 트랩이 설치되지 않는다. 가스를 배출하고 많은 양이 배출 될 때 사이펀 작용 siphoning action 대기압이 용기 안의 액체를 용기 외부의 낮은 레벨방향으로 강제로 밀어내는 작용 이 모든 폐수를 트랩에서 끌어 내지 못하도록 모든 트랩을 통풍 시켜야 한다.

 

A. 양변기 오수배관으로 정화조를 갖춘 하수도관으로 연결된다.

B. 세면기 하수배관

C. 욕실 바닥 하수 배관으로 배수되는 설비장치 수에 따라 관경을 결정한다.

D. 욕조 또는 샤워 하수배관
모든 수평 하수 파이프는 배수방향으로 1~2% 기울어진다. 크기 파이프의 직경 는 주행 길이, 선로에 의해 정비되는 설비의 수, 유형 및 트랩에서 배출구까지의 거리에 따라 다르다.

 

B309 배수구, 폐기물 및 통기 시스템   DWV  Drain, Waste, and Vent system

폐수는 고체뿐만 아니라 액체도 포함 할 수 있기 때문에서 파이프는 더 커야 한다. 중력에 의해 흘러서 이동하기 때문에 파이프는 흐르는 방향으로 기울어져야 하지만, 급격히 기울어지면 액체만 흘러 나가고 고형물은 쌓일 수 있으므로 고형물이 액체와 같이 흘러 나갈 수 있는 적절한 기울기가 중요하다. 폐기물은 종종 하수도 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하수도 가스가 건물 안으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벤트, 트랩이 적절히 설치되어져야 한다.

 

DWV 시스템은 항상 다음 세 가지를 포함한다.

 

트랩 trap, 수도꼭지, 하수도 가스의 역류 방지.

 

배수관 drain line 은 설비에서 액체 폐기물을 운반한다.

수직 배수관: 스택 stack, 수평 배수관: 가지관 branche 이라고 부른다.

양변기 에서 배출되는 파이프는 오수라인이라고 하며, 오수를 배출하지 않는 파이프를 배수 라인 이라고 한다.

 

통기 라인 vent line 은 트랩 워터 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지붕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습식 통기구 wet vent 는 매우 특정한 규칙에 따라 배수 라인 drain line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기구이다.

 

DWV 재료

 

주철 Cast iron

장점 : 내구성 Durable 화학 물질에 의해 공격받지 않음/  끓는 물의 영향을 받지 않음

단점: 무겁다 Heavy / 절단하기 어렵다. / 매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아연 도금 강 Galvanized steel

장점 : (주철과 동일)

단점 : 고가 / 스레드thread에 의해서만 결합 / 내부에 녹이 발생하기 쉽다.

 

PVC and ABS

장점 : 저렴한 비용 / 용제 용접 또는 나사산 / 경량

단점 : 140 ° F로 제한 / 물리적 손상 입기 쉽다. / 일부 화학 물질에 의해 손상됨

 

B310 트랩  Trap

  • 고정 장치 꼬리부분 이 너무 높다면 떨어지는 물은 배출구 위르 outlet weir 을 지나치는 데 충분한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꼬리부분 이 가능한 짧을 것을 요구하지만 어떤 경우에도 600mm 보다 길지 않아야 한다.

  • 폐수 wastewater 가 트랩 trap 및 배출구 암을 배출구 아래의 지점까지 완전히 채우면 배출구의 물 무게가 배출구 뒤의 물을 트랩 밖으로 빨아들일 수 있다.

  • 트랩 암 trap arm 이 직경에 비해 너무 길면 유체 마찰로 인해 배출구가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폐기물이 되돌아가게 되어 사이펀 siphoning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림 7 트랩종류

 

 

B311 배수 통기 규칙 

  • 모든 위생기구에는 트랩 trap 이 있어야 하며 모든 트랩을 통기 vent 해야 한다.

  • 개별 통풍구l vent 는 단일 설비 트랩 trap 을 공급하는 통풍관의 길이이다. 직접 외부로 통기 vent 시키거나 나머지 배기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다.

  • 습식 환기 wet vent 는 상부 고정구의 배수관 drain 과 하부 고정구의 통기구 vent 역할을 하는 파이프의 수직 길이이고,상부 고정구에 필요한 배수관 drain 보다 큰 파이프 크기가 최소 1 인치 이상 2 인치 이상이어야 한다.

  • 1 층의 통풍구는 모두 최상층 위생기구의 가장자리보다 최소 6 인치 이상 높은 위치에서 스택 통풍구 지붕을 통해 외부로 이어지는 수직 통풍구 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 규칙은 배수관이 막힌 경우 통풍구를 보호한다.

그림 8 배수 통기관 종류

                                                                                           A 개별 통기관 Individual vent

                                                                                           B 공용 통기관 Common vent

                                                                                           C 통기 수직관 Stack vent

                                                                                           D 회로 통기관 Loop vent / 화살표 경사방향

                                                                                           E 습식 통기관 Wet vent / 배수구경 한 단계 큰 파이프 사용

 

B312  기본욕실 레이아웃  

가장 자주 사용되는 위생기구는 다음과 같다.

1. 세면대

2. 양변기

3. 욕조 / 샤워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위생기구 세면대와 양변기가 실내에 들어올 때 가장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위생기구를 배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양변기는 가능한 문을 열었을 때 바로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다.

 

그림 9 욕실 기본 레이아웃 유형
그림 10 세탁겸용욕실

B313  고정기구 

다양한 욕실 배관 설비의 특성으로 인해 크기, 시공, 사용 및 필요한 여유공간, 각 설비기기 와 관련된 접근성 문제와 관련하여 각 유형의 설비유형을 고려해야 한다.

 

욕실장비 UNIT  / 너비 width / 깊이 depth

 

싱글 빌트인 세면대 / 600 / 550

더블 빌트인 세면대 / 1200 / 550

핸드 세면대 / 500 / 400

비테 / 400 / 600

욕조 / 1700 / 750

샤워트레이 / 900 / 900

수세식 변기 / 400 / 750

빌트인 변기 / 400 / 600

소변기 / 400 / 400 

세탁기 / 600 / 600

건조기 / 600 / 600

 

B314  양변기 Toilet

  • 변기는 수세식 탱크 flush tank 또는 수세식 밸브 flush valve로 구성된다.

  • 수세식 밸브가 있는 밸브는 일반적으로 더 큰 급수 라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 주거 영역에서 사용된다.

  • 대부분의 주거용 변기는 수세식 탱크 유형이며 일체형 탱크 one-piece 와 보다 일반적인 개별 탱크 two-piece 유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역 트랩 Reverse-trap 변기는 림 rim 을 통해서만 물을 공급하는 반면 사이펀 제트 siphon jet 유형은 림 동작과 함께 사이펀 제트를 사용한다.

  • 주거지에서는 중력 수세식 탱크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더 적은 물 사용으로 강력한 수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압력 및 동력 보조 식 화장실이 있다.

B315 소변기  Urinals

  • 소변기가 상업적 용도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반면, 주거 환경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소변기는 좌변기보다 물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욕실 면적이 여유로운 환경에서는 소변기를 주거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 남성이 사용하는 소변기는 벽에 배관되어 붙어있는 타입이다.

  • 벽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기 장착 높이가 다를 수 있다.

  • 일부 소변기에는 위생 뚜껑이 달려있어 일부 사용자에게 유용하다.

B316 세면대 

  • 세면대Lavatory 는 벽에 걸거나,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거나, 싱크대 또는 보관함의 일부로 종종 카운터에 배치 될 수 있다.

  • 세면대 종류에는 세면볼이 다른 방식으로 카운터와 “결합”하는 여러 가지 마운팅 유형이 있다. 유형에는 셀프 리밍 self-rimming, 무테 rimless , 언더 마운트 undermount, 카운터 오버 counterover, 및 일체형 이 포함된다.

  • 카운터 상판 countertop 재질 및 전반적인 디자인의 선택은 사용되는 장착 스타일을 결정한다.

  • 셀프 리밍 Self-rimming 세면대에는 카운터의 윗면에 림 rim 이나 립 lip 이 있다. 이 유형은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화강암, 대리석 및 단단한 나무로 만든 조리대에서 잘 작동하며 타일 위에도 사용할 수 있다. rim 은 세면대에 물이 되돌아오지 못하도록 하여 테두리가 카운터 상판에 닿아 수분이 고일 수 있으므로 청소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 무테 Rimless 세면대 장착에는 별도의 장착 림 rim 과 세면대를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카운터 상판 아래에 부착 된 클립을 사용해야 한다. 이 설치 유형은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laminate 상판으로 자주 사용된다. 셀프 리밍 세면대와 마찬가지로 이 유형의 가장자리는 깨끗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 언더 카운터 Undercounter 세면대는 카운터 상판의 바닥면에 부착된다. 종종 단단한 표면 solid-surface 카운터와 함께 사용되며 다양한 석재 stone 카운터 탑에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에 물이 튈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카운터 표면에서 세면대 볼을 직접 세척할 수 있으므로 청소가 용이하다.

  • 카운터 오버 Counter-over 세면대에는 카운터 상판의 기본재료 일반적으로 합판, 시멘트 보드 또는 파티클 보드 상단에 맞는 립이 있다. 이 세면대는 카운터 자체가 타일과 같은 고르지 않은 재질로 되어있을 때 잘 적용된다. 이 경우, 타일은 수채의 테두리 바로 위의 수조 표면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타일 세팅은 세면대를 설치 한 후에 시공하며, 합성 대리석, 다양한 단단한 표면, 콘크리트, 테라 초, 스테인리스 스틸 및 석판을 가공하여 세면대가 카운터 표면과 연결된 카운터를 만들 수 있다.

  • 자립형 세면대 Pedestal sinks 는 받침대 상판에 있는 세면대로 구성되어 급수 및 배수관을 숨긴다. 별도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파우더 룸에서 자주 사용되거나 인접한 선반이나 세면도구 및 개인 용품 보관을 위한 기타 저장 장치가 함께 제공된다.

  • 벽걸이형 세면대 Wall- mounted sink 는 원하는 높이에서 벽에 매달려있는 세면대 타입이다. 배수관과 공급관은 일반적으로 벽에 고정 된 고정구에 노출된다. 그러나 일부는 파이프를 숨기고 휠체어를 사용하는 다리를 보호하기 위해 세면대 아래에 매치 커버를 배치한다.

  • 자립형 세면대 pedestal sink 처럼 대부분의 벽걸이 모델은 세면 용품 및 개인 용품 보관 공간이 매우 제한되어 있지만, 인접 선반, 내장형 벽 보관함, 약실 및 기타 저장 장치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벽걸이 세면대 측면에 선반을 설치하여 매우 제한된 보관 공간을 허용 할 수 있다.

  • 베젤 세면대 Vessel sink 는 일반적으로 세면대 상판에 얹혀 놓은 그릇 모양의 세면대이다. 베젤 세면대는 종종 전통적인 욕실 세면대보다 탁상처럼 보이는 카운터 위에 놓이며, 일부 세면대는 유리, 나무 또는 돌로 만든 표면에 놓여 벽에 부착되고, 일부 세면대는 브래킷으로 지지되는 벽면 장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소 높이가 있기 때문에 키가 큰 전용 수도꼭지가 필요하다. 특정 베젤 세면대는 언더 카운터 undercounter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다른 베젤 세면대는 카운터 탑 표면에 삽입 될 때 셀프 림 싱크 self rimming sink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림 12 셀프 리밍 세면대
그림13 언더카운터 세면대
그림 14 베젤 세면대
그림 15 자립형 세면대
그림 16 벽걸이형 세면대

B317  욕조 Bathtubs

  • 욕조 재질에는 유리 섬유, 아크릴, 에나멜 처리 된 주철 및 에나멜 처리 강이 포함되며 설치 유형에는 내장형 및 독립형 욕조가 포함되고, 붙박이 유닛은 욕조의 벽장 유형 욕조를 포함한다. 이 유형은 전면이 노출 된 3면으로 둘러싸여 있고, 마감된 표면이 적기 때문에 이 모델은 다른 설치 유형보다 경제적이다.  이 유형의 욕조는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방향이 지정되며, 욕조에 직면 할 때 드레인 위치를 고려되어야 한다.

  • 앨코브 Alcove 유형 욕조는 또한 욕조 / 샤워 조합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설치 유형이며 대부분의 앨코브 유닛은 벽걸이 수도꼭지와 욕조 내부에 오버 플로overflow가 장착되어 있다.

  • 내장 된 욕조 built-in bathtub 유형은 세면대가 카운터 상판에 설치된 것과 같이 장착 된 드롭 인 drop-in 설치 유형이다. 이 유형 욕조는 독립적으로 프레임 된 데크 영역에 장착되며, 데크 면적의 골조와 마감에 드는 비용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설치는 비용이 많이 든다.이러한 설비에서, 욕조는 싱크대와 유사한 방식으로 언더 마운트 undermounted 되거나 셀프 리밍 self-rimming 될 수 있다.

그림 17 앨코브 욕조
그림 18 매립형 욕조
그림 19 자립형 욕조

B318  전기 및 기계 

  • 겨울철 설계 온도가 낮은 경우 최소 20℃로 난방해야 하기 때문에 욕실은 어떤 형태의 열원이 필요할 수 있다.

  • 조명, 가구, 창문 및 문 위치를 계획 할 때 열원 또는 디퓨저의 위치와 모든 공냉식 난방기를 사용할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 국가 및 지역의 전기 규정에 따라 누전 차단기가 욕실 및 기타 습기 찬 곳의 전기 콘센트에 사용되도록 요구된다. 전류를 감지하고 콘센트 또는 차단기 패널에서 차단기를 트립하여 감전 위험을 제거함으로써 감전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설계한다.

  • 모든 소켓은 누전차단기능이 있어야 하고, 욕실 콘센트를 공급하기 위해 최소 하나의 20A 분기 회로가 별도로 제공되어야 한다.

  • 욕실 콘센트 배치는 실내 구성과 세면대 및 장식재 배치에 따라 결정된다. 벽면 소켓 콘센트가 욕실에 설치될 경우에는 화장실의 900mm 내에 위치해야 하며 물이 튈 경우를 대비하여 콘센트가 카운터 상단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 일반 조명의 켜기 / 끄기 스위치는 가능한 경우 출입구의 손잡이 측면에 있는 출입구 도어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다.

  • 조명 및 전원 콘센트 이외에도 욕실 또는 드레싱 영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전화, 영상 케이블 및 오디오에 대한 다양한 통신 회선을 검토할 수 있다.

  • 배기 팬은 창문이 없는 방에서 필요하며 스팀 및 악취 제거에 도움이 되는 창문 외에도 많은 욕실에 사용된다. 일부 지역 규정에 따라 팬을 조명등과 함께 제어해야 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별도의 스위칭을 통해 배기 팬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조명만을 켤 수도 있다.창문이 없고 팬이 모든 환기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중앙 배치를 권장 한다.샤워로 생긴 스팀을 제거하기 위해 팬이 필요한 경우, 샤워 실 근처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며, 가능하면 팬 스위치를 사용 장소 가까이에 두는 것이 좋고, 배기 팬이 변기의 냄새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라면 변기에 편리한 스위치가 도움이 될 수 있다.

B319  욕실 조명 

  • 욕실을 위한 조명은 거울, 화장실 및 기타 정리 작업이 수행되는 기타 장소에서 일반 조명은 물론 작업 또는 포커스 조명을 설치한다.

  •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미용은 거울 앞에 있는 세면대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부분을 잘 조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영역에는 거울 위에 단일 조명이 장착되어 있지만, 이 등 기구 위치가 얼굴의 일부에만 일정하지 않은 빛을 비추면 그림자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것은 아니다. 거울 측면에 2 개의 벽걸이 형 등 기구를 제공하고 대략 눈높이에 장착해서 교차 조명하면 그림자가 줄어 든다.

  • 일부 세면대가 작은 공간에 있는 욕실 거울 및 미용 구역에서는 등 기구를 거울 측면에 배치 할 수 없고, 등 기구를 인접한 벽에 장착 할 수 있다. 습기가 생길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설치해야 할 경우 조명기는 누전차단기와 함께 설치해야 한다.

  • 벽에 등 기구를 고정하기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머리 상부 위치에 조명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유일한 선택 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등 기구는 바닥 위에서 약 1,900~2,040mm에 보통 설치하며, 광택 또는 옅은 색의 커버를 사용하여 일부 빛을 위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 매입형 다운 라이트를 입욕 구역에서 사용하고 적절한 간접 조명을 적용하지 못하는 경우 세면대, 상부 턱 및 선반에서 벽면 조준 또는 로프 조명 다른 형태의 숨겨진 조명 으로 보완 할 수 있지만, 은폐 된 등 기구는 다소 낮은 간접 조명으로 기능할 수 있다.

  • 매입 또는 표면 장착 여부, 샤워기, 욕조 바로 위 및 스팀 룸에 있는 등 기구는 승인 된 시험 기관에서 습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된 방습제품을 사용한다.

  • 욕실의 안전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고효율 등 기구를 설치하고 센서 회로로 제어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욕조에 누군가가 있는 동안 모든 등기구가 꺼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B320 마스터 욕실 

  • 서로 다른 높이의 이중 헤드 또는 여러 개의 작은 제트 스프레이 헤드로 넓은 샤워반경이 가능한 샤워기를 분리 설치

  • 샤워는 종종 깊숙한 공간에 위치

  • 따뜻하게 수건을 덥힐 수 있는 수건 봉

  • 마스터 욕실에 인접한 옷장 또는 드레싱 구역

  •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커다란 거울과 맞춤형 스토리지

  • 서랍, 전기 콘센트 및 세면대가 있는 앉을 수 있는 화장대 영역

  • 욕실 용 리넨, 소모품, 개인 용품을 위한 충분한 수납공간

  • 목욕 공간이 넓고 개방된 곳에서 화장실은 환기구가 있는 별도의 작은 방에 위치할 수 있다.

  • 고급 스파 또는 월풀 욕조.

  • 습식 또는 건식 사우나 또는 마사지 공간

  • 편의 시설에는 음악 또는 스피커, TV 화면이 포함된다.

  • 방수 전자 장치

B321  패밀리 욕실

  • 세면대와 욕조 / 화장실 사이에 포켓 pocket, 접이식 folding 또는 스윙 swinging 문으로 욕실을 분리 구획하여 두 사람이 동시에 화장실을 사용할 경우를 대비해서 고려할 수 있다.

  • 화장대를 분리; 화장대를 길게 하고 이중 세면대를 설치고려할 수 있다.

  • 각 침실에 화장대와 세면대를 설치

  • 각 면에 접근 가능한 출입문이 있는 침실 두 개 사이에 작은 욕실을 배치 화장실과 욕조 또는 샤워 시설을 포함한 별도의 욕실이 있고, 복도 또는 침실 사이에 작은 욕실이 있을 때 효과적이다.

  • 별도의 장소에 욕조와 샤워기를 배치.

  • 작은 욕실 공간은 부피가 큰 캐비닛이 없는 배관 설비 및 잘 배치 된 거울을 사용하면 천장 높이가 더 높게 보여질 수 있다.

  • 양변기가 잘 보이지 않도록 출입구를 계획한다.

B322 일반 욕실  

공간구성

  • 천장 / 천장판넬, 점검구, 조명기구, 배기 팬

  • 벽체 / 벽체타일, 욕실 장, 거울, 선반, 욕실 문, 세면기, 수전 및 액세서리

  • 바닥 / 바닥타일, 욕조 ,샤워부스, 좌변기, 드레인 커버

  • 숨은 공간 / 파이프 덕트 내부 수직, 수평배관

시공계획

  • 공정의 간섭 / 좁은 공간에 많은 공정이 투입되어 공정 간섭 및 마찰 발생하기 때문에 공정계획 수립 시 시공순서 및 인원, 자재투입시점의 사전계획 필요하다.

  • 누수 및 안전사고 / 시멘트 액체방수의 한계 균열문제, 후속공사에 의한 방수층 파손 우려와 보호몰탈 철저 ,물 사용에 따른 바닥의 미끄럼 등 안전사고 우려가 있다.

  • 공간의 제약 / 여닫이 문 개폐 시 변기와의 간섭 검토, 욕실문턱 높이 부족으로 인해 물 역류문제와 실내화 걸림 확인, 강화유리도어 열림 방향에 따른 뒷 선반 및 세면대와 간섭 우려.

도면검토

  • 욕실의 내부 공간 크기 파악

  • 욕실 샤워부스 공간 확보를 위하여 여유공간 확인

  • 욕실 문짝 하부 신발 걸림 예방을 위하여 문짝 하단과 욕실 바닥과의 높이를 최소 70mm 이상 유지

  • 골조 공사 시 욕실 부분을 낮춤시공하고, 드레인 높이는 슬래브 두께와 방수층 두께를 감안하여 결정

  • , 배수관 시공 경로 계획 및 층고 계획 검토(구체적인 치수 확인)

  • 배수 드레인 자재 및 위치선정 검토

타일나누기도 검토

  • 디자인과 타일 손실율 Loss 을 감안하여 나누기도 작성한다.

  • 타 공종과 협의하여 욕조상단, 세면기 상단높이, 거울 설치높이, 각 부착물 설치위치 등 종합 검토한다.

  • 포인트 벽 타일을 우선 배치하여 나누기 도를 계획하고, 포인트 타일은 바탕타일과 모듈을 조합하기 용이한 배율 사이즈로 검토한다.

  • 타일나누기를 한 방향으로 온 장을 나누어간 결과 마지막 조각이 자투리 조각이 발생할 때는 마지막 조각과 온 장 길이를 더한 길이를 1/2로 나눈 조각을 시작부위와 끝 부위에 한 장씩 시공한다.

  • 바닥타일은 벽 타일 줄눈과 일치할 수 있는 배율의 자재를 선정한다.

  • 타일 나누기 시 타일규격 및 줄 눈 치수 고려

  • 욕조 주변, 드레인, 액세서리류, 모서리부분에 대한 나누기상세도 작성

  • 욕실바닥은 드레인 방향으로 구배 시공하며, 급격한 구배를 피하고 완만한 구배를 유지(1/100 정도)

  • 욕조 에이프런 설치 시 하부 및 후면에 몰탈을 충분히 충전

  • 바닥 드레인 주위 바탕처리 확인

시공 분류

  • 구조체공사 / 구조체 작업 전 시공상세도 확정 ,구조체 작업 시 슬래브 낮춤시공, 방수턱 시공, 바닥 드레인 설치

  • 공간공사 / 마감 먹메김, 배관작업(수압테스트, 보온), 문틀, 점검구 설치 , 시멘트 벽돌 시공(전기배관작업과 협의), 욕조 설치 , 바닥 및 벽체방수, 코너 및 기구 주변 도막방수, 벽체 방수상부 미장

  • 마감공사 / 벽체타일 시공, 뒷 선반 설치, 드레인 및 트렌치 설치 , 바닥몰탈 타설, 바닥타일 시공, 천장 시공, 조명기구 시공 , 변기 및 세면대, 거울, 욕실장 설치, 문짝 설치 도어체크 및 하드웨어 포함. 액세서리류 설치, 수전 류 등은 분실문제로 인하여 입주 시 설치

B323 공중 화장실

  • 수세식 화장실 flushing lavatory

  • 세면기 washbasin

  • 노인이나 장애인 방문객이 접근 시 장애물이 없는 유리한 지상 층 위치를 고려한다.

  • 가능한 한 경제적 인 배관 서비스 경로를 유지한다.

  • 폐기물 용 펌프 시스템은 이전에는 허용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화장실 배치를 가능하게 하지만 펌프의 소음과 기계적 오작동으로 역류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오작동 시 안전장치를 수립해야 하거나 가능한 한 펌프 사용은 제한해야 한다.

 

'인테리어 요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단  (0) 2020.04.19
주방  (0) 2020.04.19
거실  (0) 2020.04.18
침실  (0) 2020.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