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공간계획 (8)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간재생 공간재생이란 기존 건물을 지속 가능한 상태로 안정시키기 위해, 또는 새로운 목적을 위해 개선하는 작업으로 이러한 작업은 4 가지 방법 중 하나로 분류 될 수 있다. 보존 保存 Preservation 잘 보호하고 간수하여 남김 보존 수리 또는 예상되는 추가 붕괴를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미리 수리해서 현재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작업이다. 복원 復元 Restoration 원래대로 회복함 복원은 시간과는 무관한듯한 착각을 만들기 위한 시대적인 소재와 기술을 사용하여 원래 구축 된 상태로 건물을 되돌려 놓는다. 수선 修繕 Renovation 낡거나 헌 물건을 고침 보수 공사를 통해 현대적인 욕실, 주방 및 난방 시스템을 통합하여 현대 생활에 적합하도록 건물을 업데이트한다. 리노베이션 공사.. 실내공간의 유연성 A601 유연성을 위한 계획 주거 공간의 경우 구성원이 늘어남에 따라 놀이 공간, 학습 공간, 상호 작용 공간 및 심지어 자녀와 함께하는 공간도 우선 순위가 되기도 하고, 가족의 분가와 같은 상황에 따라 공간의 변화를 탄력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며, 비 주거 공간의 경우 운영 확장으로 인한 추가적인 시스템 또는 설비 도입에 따른 공간 확보나 수용인원의 증가를 예상해서 미리 계획안에 유연성에 대한 방안을 수립해 놓아야 할 것이다. 큰 공간 단점은 유지 보수 및 여분의 가구를 요구하고 청소 부담뿐만 아니라 보안 문제를 야기 할 수 있고, 벽을 생략하는 것은 비용을 절감하는 요인이며, 작은 방의 칸막이 형태가 아닌 하나의 큰 방이 전체 실내에 보다 넓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원하는 모든 목적을 위.. 순환공간 A501 출입 및 순환 공간 공적 public 및 사적 private 영역을 보여주는 버블 다이어그램. 진입 entry 영역은 두 영역 간의 전환 transition 역할을 한다. A502 기능 영역에 대한 접근 기능 영역에 대한 접근 우선 순위가 있는 영역인 주거공간에서 현관영역과 비 주거공간에서의 로비 영역은 동일한 레벨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 있으며, 극단적 인 기후에서는 외부 및 내부 공기 온도 사이의 방풍장치로서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다. A503 수직 이동 주거용 계단 의 최대 기울기: 195mm 챌면 riser 높이 ; 255mm 디딤 면 tread (37 플러스 등급) 일반인이 접근 할 수 있는 계단의 최대 경사도: 178mm 라이저; 279mm 트레드; (32도) IRC국제주거규정 .. 접근성 접근성 Accessibility 디자인이 장애인의 요구를 특별히 고려하는 정도. 접근성이란 때로는 제품, 서비스 및 시설을 다양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성을 나타낸다. 유니버설 디자인 universal design 의 목적은 제품, 통신 및 환경을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거의 또는 전혀 불편함이 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사람의 삶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모든 연령대와 능력을 가진 사람들에게 혜택을 준다. 장애인의 이용 가능성 Visitability 은 보편적 인 디자인 개념과 몇 가지 공통점을 공유하는 개념이다. 신체 장애가 있는 사람이 방문하거나 접근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을 말하며 때로는 기본 접근 공간 또는 포괄적 인 공간 디자인이라.. 실내건축관계규정 국내 건축법 / 법률 제 15594호 건축법 시행령 / 대통령령 제 29235호 건축법 시행규칙 / 국토교통부령 제 524호 건축물의 설비 기준 등에 관한 규칙 / 국토교통부령 제467호 실내 건축의 구조 시공방법 등에 관한 기준 / 국토 교통부고시 제2016-1024호 주택 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정 / 대통령령 제 28628호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 법률 제 15809호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 대통령령 제 29037호 화재예방,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 대통령령 제 29122호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 국토교통부령 제 548호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 대통령령 제 2.. 인체계측 인체 계측 anthropometrics 인체의 크기와 기능적 용량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인간 공학 Ergonomics 인체 측정 데이터를 비롯한 인적 요인 데이터를 설계에 적용하는 것이다. 가구, 비품 및 장비 에 필요한 여유 공간과 관련된 인체 공학적 정보가 포함된다. 인간 공간학 proxemics 다른 문화와 상황에 있어서 개인들 사이의 공간적 거리에 관한 연구 실내공간의 부피를 결정할 때 가장 기초가 되는 정보는 해당 공간에서의 움직임이다. 2015년 국가기술표준원 7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 연령: 20~24세 평균치수 / 남성, 여성 단위mm, 단 수 반올림 정리 선 자세의 인체계측 남 여 키 1740 1610 눈높이 1620 1490 어깨높이 1410 1300 팔꿈치높이 1060 .. 실내공간기준 실내 공간은 인간의 어떠한 목적에 의해서 용도가 규정지어지게 되고, 해당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인간의 행위가 해당 용도 공간의 기초 정보가 된다. 많은 상업 설계에는 거주, 식사 또는 수면 영역이 포함되며 거주 지역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취급된다. 비 주거 형 디자인의 다른 경우 기능 목록은 특정 사람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필요 또는 기능과 관련된다 실내 공간에서 이뤄지는 인간의 다양한 기능이 있겠지만, 실내 공간에서 인간이 삶을 영위하기 위한 기초적인 행위를 보면, 하루를 시간순으로 A1-C1 침실에서 시작해서 A1-C2 욕실에서 몸을 청결히 하고 A1-C3 주방에서 식사를 하며 A1-C4 드레스룸에서 옷을 차려입고 A1-C5 외출 A1-C1 : 인간의 기본 행위는 수면이다. 인간의 수면.. 실내건축매트릭스 인테리어 프로젝트는 현실에 존재하는 플랫폼 안에서 가상의 공간을 구조화 하면서 시작되며, 가상의 공간은 시간과 사람, 시선과 계통의 흐름에 따라 진화를 거듭해 주어진 현실의 플랫폼 안에서 실체를 드러낸다. 가상의 공간은 A1 /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 1차 요소인 쏄 CELL 형태로 생성되고, A2 / 그 쎌 CELL들이 모여서 기능을 하는 모듈 MODULE을 형성하며, A3 / 개별 모듈 MODULE 들은 미학적으로 결합되면서 온전한 하나의 유닛 UNIT으로 진화한다. * A1 / 실내 공간 쎌 CELL A2 / 실내 공간 모듈 MODULE A3 / 실내 공간 유닛 UNIT 실내 공간은 인간의 어떠한 목적에 의해서 용도가 규정지어지게 되고, 해당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인간의 행위가 해당 용도 공간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