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101 조직 흐름
-
침대와 배치는 방의 배치를 지배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침실이 설계 될 때 침대의 위치를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
-
침실의 순환 공간은 침대 및 벽장, 추가 저장 공간, 다른 가구 및 때로는 욕실뿐만 아니라 실내 주요 입구에 대한 접근 공간과 같이 부수적인 공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
방의 요소를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때 통행 흐름을 상상해야 한다.
-
침대에 접근 할 때 통행 공간이 필요하지만 옷을 갈아입을 때도 벽장과 같은 추가 의류 보관 장소로 이동하는 통행공간이 필요하다. 즉, 어떤 경우에는 사람들이 침대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옷을 꺼내거나 옷을 갈아입으려고 출입하기도 한다. 이를 염두에 두고 일반적으로 룸 입구에서 벽장을 벽에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
서랍장은 의류를 보관하는 데 사용되며 벽장과 같이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벽장을 서랍장과 비교적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
가장 자주 사용되는 장소는 더 많은 순환 공간이 필요하다.
-
드레싱 영역에서 덜 자주 접근하는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순환 공간이 더 적게 필요하다.
-
외벽 창문의 위치에 대한 침실 출입구의 위치는 방의 형태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B102 필수 여유 공간
침실의 특수한 특성 때문에 수면을 위한 유용한 방을 설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인체 공학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침대 주변을 만들고 청소하는 작업은 450mm의 여유공간이 필요하지만 600mm에서 가장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다.
-
주요 순환 공간은 입구 및 가장 많이 통행하는 지역에서 발생한다. 주요 순환 영역은 900~1200mm의 바닥 공간을 필요로 한다.
-
빈도가 낮은 순환 영역으로 덜 통행하는 구역 은 600mm정도가 적당하다.
-
침대를 정리하는 데 필요한 면적은 최소 450mm~600mm 공간을 사용한다.
-
옷장, 화장대, 선반, 침실용 스탠드와 같은 수납 가구는 종종 가구를 사용하기에 사용자가 다소 낮게 구부리고 서랍을 빼낼 공간 700mm~1,200mm정도가 요구된다.
-
휠체어사용자가 보관 품목을 사용하려면 문과 서랍이 있는 수납 가구에 인접한 800~1,200mm 여유공간이 필요하다.
-
드레스 룸에 필요한 여유 공간; 서랍이 있는 보관실에는 보다 큰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구부려 서랍을 당길 수 있는 여유공간 1,200mm 옷장은 일반적으로 일종의 문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선택한 문 개폐 유형 미닫이, 여닫이 방식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B103 침실 계획
-
옷장 위치가 출입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 옷을 꺼내기 위해 방 전체를 가로 질러 가야하며 또한, 길고 좁은 형태의 방에서 옷장은 방을 더 좁히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구조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
벽장이 외벽의 주요한 위치를 차지해서 가능한 창문 위치를 없애고 가구 배치 옵션을 제한하는 구조는 피해야 한다.
-
기능하기 어렵게 너무 작게 나눠진 접이식 문 과 출입하기 어려운 출입문 너비 700mm 이하는 피해야 한다. 권장되는 최소 너비는 750~850mm 자주 사용하는 문의 너비
-
출입문 너비를 900mm이상 확보해야 하는 상황일 경우 한 개의 문을 두 개로 나눠서 교체하는 방식을 검토할 수 있다.
-
문이 열릴 때 간섭이 발생해서 다른 기능 또는 공간이 방해가 되는 구조는 피해야 한다.
-
침대 주변에 적절한 공간과 순환 공간이 없고 창문과 맞닿아 있는 구조는 피해야 한다.
-
침대 모양과 방의 침실 모양을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면 순환 공간 너비가 좁아진다. 방이 길면 침대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벽장 안의 모퉁이Dead corner는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다.
B104 접근성
침실의 경우 최소 800mm의 여닫이가 있는 문을 통해 실내에 출입해야 한다. 이는 900mm 문을 사용하면 모든 실제적인 통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접근 가능한 침실은 침대, 옷장 및 추가의 의류 수납공간에 접근하기 위해 휠체어를 위한 명확한 순환 공간이 필요하다.
침실 접근성 지침 체크리스트
-
문은 최소 900mm의 공간을 제공한다.
-
침대와 옷장 / 수납공간에 접근하기 위해 최소 900mm의 명확한 순환 공간을 확보한다.
-
휠체어를 수용하려면 침실 문과 침대 사이, 또는 수납공간과 침대 사이에 T자 모양의 선회를 위한 선명한 회전 공간 1,500×1,500mm의 공간이 있어야 한다.
-
침대의 발과 먼 쪽에서 최소 900mm의 여유 공간은 침대 정돈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
발받침 footboard와 헤드 보드 headboard 는 종종 들어가거나 나가는데 도움이 되며 경사진 헤드 보드는 침대에서 뒤집거나 침대에서 움직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매트리스의 높이는 휠체어의 높이와 같아야 한다.
-
탁자는 침대 높이이어야 한다.
-
서랍 및 기타 보관 장소에 접근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휠체어 사용자 및 이동이 제한된 개인에게 유용한 보관 공간을 제공하려면 의류 봉, 선반 및 추가 저장 요소의 높이를 고려해야 한다.
B105 벽장
-
벽장은 일반적으로 의류 수납을 위한 접근 공간을 필요로 한다.
-
리치 인 벽장 Reach-in closets 은 순환 전용 공간을 필요로 하기 보다는 실제 공간과 순환 공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이다.
-
워크 인 벽장 walk-in closet 은 옷장 공간에 별도의 하드웨어를 넣을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실제 벽장 공간을 제한 할 수 있지만, 다른 경우에는 워크 인 벽장이 더 많은 벽 공간을 사용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
자주 사용되지 않는 품목은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 , 일반적으로 상단 선반 또는 닿기 힘든 지역에 배치 할 수 있다.
-
벽장에서 가장 접근하기 쉬운 부분 으로 문 유형에 따라 다름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목을 포함해야 한다.
-
벽장에는 마감된 상판이 중앙 위치에 있고 옷을 접고 배열하는 데 사용되는 선반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들은 종종 900mm 정도의 높이이며 순환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접한 의류 수납공간에 모두 접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
벽장에는 특수 조명, 창문, 기계 환기 시스템, 화장대가 포함될 수 있고, 이 항목들은 모두 결합되어 욕실 영역을 포함하거나 인접한 전체 드레싱 룸으로 만들 수 있다.
B106 전기 및 기계
-
머리 위 또는 일반 조명의 켜기 / 끄기 스위치는 가능한 경우 출입구의 손잡이 측면에 있는 출입구 도어에 가장 가까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
두 개 이상의 출입구가 있는 대형 스위트룸에서는 3방향 스위치 three-way switch 라고 하는 두 번째 온 / 오프 스위치를 다른 편리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
주변 조명에 다수의 조명 설비가 사용되는 경우, 단일 스위치를 사용하여 다수의 조명기 및 콘센트를 제어 할 수 있다.
-
방의 배치와 관련하여 출구의 배치를 고려해야 한다.
-
침실이 가구 배치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유용한 방식으로 콘센트를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가구배치를 위한 초기 계획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몇 년 후 가구를 옮길 수 있다.
-
이를 염두에 두고 콘센트는 단기간에 계획된 것이 아닌 다양한 가구 배치를 수용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콘센트 및 스위치의 위치는 가구 배치의 유연성을 허용해야 한다.
-
매입형 조명기구인 월 워셔 wall washer 및 벽면 콘센트wall outlet 는 일반 실내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스위치 되어야 한다.
-
통신 라인 전화 및 케이블 은 두 군데 이상의 위치에 제공되어 가구 배치에 유연성을 갖도록 한다.
-
조명 및 전원 콘센트 이외에도 침실에는 다양한 통신 회선이 필요할 수 있다. 이용자는 침실에서 전화, 케이블 및 스테레오 / 오디오를 원할 수 있다.
-
전기 콘센트와 마찬가지로 설계자는 다양한 가구 배치를 수용 할 수 있도록 케이블 및 통신 콘센트의 위치를 고려해야 하지만 무선 통신이 보다 보편화됨에 따라 통신 콘센트의 위치는 덜 중요한 부분이다.
B107 침실 조명
-
침실에서의 조명은 침대에 누워서 점등과 소등을 할 수 있도록 점등, 소등의 편의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빛에 의한 명시성보다는 분위기 조명으로의 기능이 더 중요시 되는 공간이므로 부분적으로 테이블 스탠드, 커튼조명, 밸런스 조명 등을 적절히 사용하여 심미성과 장식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명시성을 위한 국부조명 등을 병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
침실공간에서의 전반조명은 100lk 정도가 적당하며, 신문 또는 독서나 화장을 하는 공간에서는 고조도가 필요하다. 분위기를 위한 무드 조명에는 2,700K 온도의 빛으로 온화한 느낌이 들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일부 객실은 주변 조명뿐만 아니라 천장에 고정 된 조명 장치를 중심으로 균형을 유지한다.
-
편안하고 적절한 일반 조명은 한 가지 방법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선택된 조명기구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기구는 실내조명에 인접한 벽에서 스위치 되어야 한다.